뉴스 전지역 2901 - 2,971 / 2,971건
[60년60인]20세기 중국조선족문화의 일대산맥
[60년60인]20세기 중국조선족문화의 일대산맥 2009.11.10|[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39) 연변대학 전임 부교장 고 정판룡교수를 회고한다 ○ 정판룡은 20세기 중국조선족이 낳은 가장 우수한 문화지성인중의 한사람이며 저명한 문학교수,교육가였으며 문학평론가, 산문작가였으며 사회활

남희철 - 활동반경은 어디까지
남희철 - 활동반경은 어디까지 2009.10.28|[흑룡강신문]

(흑룡강신문=하얼빈) 내가 남희철씨를 우연히 알게 된것은 연변TV 《문화광장》프로를 시청하면서부터였다. 재작년 6월인가 어느 토요일 아침,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가 연변TV에서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생소한 《문화광장》프로가 눈길을 당겨 대관절 어떤 프로인가고

[60년60인]공화국이 키워낸 저명한 조선족의학박사
[60년60인]공화국이 키워낸 저명한 조선족의학박사 2009.10.26|[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35) 생화학분야의 유명한 학자 윤종주교수 만나본다 ● 로기순박사의 제자 국내외 생화학분야의 유명한 학자 ● 중국조선족과학기술자협회의 건설에 중요한 기여를 한 회장 ● 장백산자원 개발로 민족의

[60년60인]중국 최고문학상 수상한 조선족작가
[60년60인]중국 최고문학상 수상한 조선족작가 2009.10.14|[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31) 단편소설 《몽당치마》의 작가 림원춘 만나본다 ● 《가무단 한쪽구석에 처박힌 〈논물관리원〉이 입었던 한복을 입고 시상대에 올랐습니다. 한복차림으로 나타나자 수백명 기자들이 샤타를 누르는

성실신용은 금이다
성실신용은 금이다 2009.10.13|[길림신문]

도문시 보이라공장 김룡식공장장 인터뷰일전 기자는 30여명의 종업원들을 이끌고 팽이처럼 돌아치는 도문시보이라공장 김룡식공장장(55)을 만났다. 월동준비때라 꺼질줄 모르는 핸드폰, 할빈서 온다는 손님들… 여하튼 오전에 시작한 인터뷰가 밤 약속으로 이어졌다. 그

박혜선-연변대학 의학부 약학원 교수
박혜선-연변대학 의학부 약학원 교수 2009.09.25|[흑룡강신문]

(흑룡강신문=하얼빈) 가을을 맞아 연변대학 캠퍼스 곳곳은 갈수록 건교 60돐 경축 분위기가 농익어간다. 환락의 물결이 넘실거리는 연변대학 의학부 캠퍼스에서 약학원 부원장으로 사업하는 전국정협위원이며 주정협 부주석인 박혜선교수를 만났다. 환갑을 바라보는 나

[60년60인]두발로 뛰는 《실천하는 학자》
[60년60인]두발로 뛰는 《실천하는 학자》 2009.09.19|[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28) 중앙민족대학 황유복교수 만나본다 황유복 프로필: 1943년 길림성 영길현 쌍하진 출생 1961-1966년 중앙민족대학 력사학부에서 민족사 전공 1966년 7월-현재 중앙민족대학 교수, 박사생도사 1972

과연 누구 우리 말과 글을 버리는가?/김관웅 2009.09.16|[중국조선족문화통신]

제13회중국조선족중소학생글짓기경연대회 페막사 김 관 웅 (연변대학 교수) 수상자 여러 분, 지도교원 여러분, 제13회중국조선족중소학생글짓기경연대회가 성공리에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저는 10년 이상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백일장을 생각할 때마다 부호의 동물로

[60년60인]우리 글에 47년…살어리랏네
[60년60인]우리 글에 47년…살어리랏네 2009.09.12|[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25) 《중한 수교 15주년 인물》에 선정된 류은종교수 만나본다 2007년 중한 수교 15돐을 맞으면서 인민일보사에서 꾸리는 《환구인물(環球人物)》 잡지가 선정한 《중한교류 15주년 15명 인물》에 선

[60년60인]중국 조선족의 첫 세계우승
[60년60인]중국 조선족의 첫 세계우승 2009.09.10|[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24) 세계동계스포츠 새 중국의 첫 금메달수상자 라치환선생 만나본다 ● 세계빙속대회 동양인 첫 우승! ● 세계빙속대회 중국인 첫 우승! ● 세계동계운동종목 중국조선족 첫 우승! ● 새 중국 성립이래

[60년60인]《천하의 민심》을 얻은 친민법관
[60년60인]《천하의 민심》을 얻은 친민법관 2009.08.22|[길림신문]

[공화국창립60돐 기념 특별기획 60주년에 만나본 60인] - 기획보도(21) 《친민의 정으로 백성을 관심하고 동료들과 단결하며 풍부한 학식으로 법률을 해석하고 바른 행동으로 공평을 수호한다. 백성을 위하는 자가 민심을 얻고 민심을 얻은 자가 천하를 얻는다.》ㅡ200

淸나라 皇室의 起源傳說에 나타난 地名考/김관웅
淸나라 皇室의 起源傳說에 나타난 地名考/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두만강 두만강류역은 청나라 황실의 조상의 발상지로서《청밀사(清秘史)》에는 청나라 황실의 조상에 래력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이 기록이 있다. 佛库伦者,长白山下一夷女也。……一日佛库伦与其长姊恩库伦、次姊正古伦,二(三?)人同浴于布库里

豆滿江의 哲學/김관웅
豆滿江의 哲學/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豆滿江의 哲學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 나는 요즘 “거란인의 語順으로부터 이어지는 생각”, “金나라 황실의 발상지 두만강유역을 이야기한다”, “淸나라 황실의 발상지 두만강유역을 이야기한다”, “ 朝鮮王祖 王室의 발상지 두만강유역을 이야기한다”, “몽골 궁궐에서의

몽골 宮闕에서의 고려인 男女의 悲戀/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몽골 宮闕에서의 고려인 男女의 悲戀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 사랑을 위해 宦官이 된 고려 총각 원나라 시기 몽골 궁중속에서의 고려인 남녀의 비련은 『元史 ․ 宦者』에 실려 있다. 朴不花는 고려인으로서 왕불화라고도 불렸는데 그의 生卒의 년대는 명확치 않다. 소년

시장경제 - 중국의 올바른 선택 (1~2) 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 중국의 가장 前衛적인 종합잡지 『南風窓』2009년 제9기에 실린 陳志武의 “未來不變:市場經濟”는 너무나 適時的인 글이다. 요즘 갑자기 이상하게 돌아가는 사람들의 사상을 바로잡아주는데 효과적인 藥으로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그 원문을 그

朝鮮朝 王室의 발상지 豆滿江 유역을 이야기한다/김관웅
朝鮮朝 王室의 발상지 豆滿江 유역을 이야기한다/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朝鮮朝 王室의 발상지 豆滿江 유역을 이야기한다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조선조 왕실의 肇祖 穆祖의 來歷 조선조 왕실의 肇祖는 穆祖이다. 목조는 조선조의 건국주의 태조 리성계의 고조부이다. 본관은 全州, 이름은 安社이다. 장군 양무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李씨로 상

청나라 황실의 발상지 두만강 유역을 이야기한다/김관웅
청나라 황실의 발상지 두만강 유역을 이야기한다/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김관웅 (연변대학 교수)훈춘 삼가자만족자치향에 있는 배우성(裴優城)배우성 裴優城) 앞에서 기념사진을 남겼다. 왼쪽부터 조성일, 정창권, 김관웅, 리태근 송어가 많이 잡히는 두만강과 훈춘강의 합수목 지난 4월 24일, 나는 內子와 함께 두만강 하류에 자리 잡은 훈춘

국제주의 사관으로 반일운동 기념해야 /윤운걸
국제주의 사관으로 반일운동 기념해야 /윤운걸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국제주의 사관으로 반일운동 기념해야 중국에서의 조선인들의 반일투쟁은 이중 사명 안중근 의사 기념행사는 글로벌 시대의 사고(흑룡강신문=하얼빈) = 조선반도는 물론 중국 더 나아가서는 동북아의 역사 관련 지성인들은 1909년에 12명 반일의사들과 단지동맹을 결성

연변 문화콘텐츠산업을 말하다/최국철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최국철 1 새벽에 눈을 뜨고보니 어제의 세상이 아니더라는 말이 이제는 과장이 아닌 현실로 대두했다.어느때부터인가 연변의 대학가나 지식계에서 심심찮게 연변문화콘텐츠발전에 관한 화제가 회자되고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글로 연변대학 김관웅교수의 “연변의 콘텐츠

3.8절에 녀성을 말한다/김관웅 2009.08.14|[중국조선족문화통신]

김관웅(연변대학) 목록: 1. 3.8절의 유래와 그 원인 2. 녀자는 녀자로 태여난다 3. 녀자는 녀자로 길들어지기도 한다. 4. 녀자의 특수성-“그물식사유방식” 5. 남녀의 불평등의 기원 6. 후기산업사회 - 남녀 불평등에서 남녀평등사회에로의 과도시 7. 21세기- 녀성이 다

모이자 소개|운영원칙|개인정보 보호정책|모이자 연혁|광고 안내|제휴안내|제휴사 소개